평산군부인 신씨 (상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산군부인 신씨는 은언군의 아들 상계군 이담의 부인으로, 천주교를 믿다가 순교한 인물이다. 남편과의 혼인 이후 천주교에 귀의하여 '신마리아'라는 세례명을 받았으며, 시어머니 상산군부인 송씨와 함께 주문모 신부에게 교리를 배우고 명도회에 참여했다. 1801년 천주교 박해 당시, 신씨는 천주교 신자라는 이유로 사약을 받고 순교했다. 사후 남편의 묘에 합장되었으며, 조선 철종 때 복권되었으나 관련 기록은 대부분 소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1년 사망 - 주문모
청나라 출신 가톨릭 신부 주문모는 1794년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초기 조선 천주교회 성장에 기여하여 2014년 시복되었다. - 1801년 사망 - 김건순
김건순은 조선 후기 노론 명문가 출신으로 천주교에 입교하여 신유박해 때 순교한 천주교 순교자이며 정약종과 함께 《성교전서》를 저술하던 중 황사영에 의해 순교자로 기록되었다. - 1770년 출생 - 루트비히 판 베토벤
베토벤은 독일의 작곡가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음악을 연결하는 중요한 인물이며, 교향곡, 피아노 소나타, 현악 사중주곡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고 청력 상실에도 불구하고 창작 활동을 지속했다. - 1770년 출생 - 윌리엄 워즈워스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이자 레이크 디스트릭트 출신인 윌리엄 워즈워스는 프랑스 혁명, 아네트 발롱과의 관계, 콜리지와의 협력, 메리 허치슨과의 결혼 등의 삶을 살았으며, `서정 발라드`, `두 권으로 된 시집`, `서곡` 등의 작품을 남겼고, 자연과 인간 감정을 묘사한 시로 계관시인에 임명되는 영예를 얻었다. - 운현궁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운현궁 - 고종 (대한제국)
고종은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이며, 흥선대원군의 섭정을 거쳐 친정을 시작하여 개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열강의 각축 속에서 국권을 잃고 강제 퇴위당했다.
평산군부인 신씨 (상계군) | |
---|---|
인적 정보 | |
이름 | 평산군부인 신씨 |
본관 | 평산 신씨 |
생몰년 | 1466년 ~ 1549년 |
묘소 | 경기도 양주군 숭인면 왕산리(현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신승선 |
어머니 | 정부인 동래 정씨 |
배우자 | 상계군 이담 |
자녀 | 3남 |
2. 생애
평산 신씨는 통덕랑 신오(申瑍)의 딸로, 은언군의 아들 상계군과 혼인하였다. 홍국영의 실각으로 남편 상계군의 지위가 격하되었으나, 친정으로 돌아가지 않고 은언군 일가와 함께 생활하였다. 상계군과의 사이에서 자녀가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남편 상계군이 의문의 죽음을 당한 뒤, 시어머니 상산군부인 송씨와 함께 천주교에 귀의하여[3] 청나라 신부 주문모에게서 '마리아'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시어머니 상산군부인 송씨는 송마리아, 신씨는 신마리아로 불렸다.
1801년 신유박해 당시 정순왕후는 천주교에 귀의했다는 이유로 재판과 심문 없이 평산군부인 신씨와 상산군부인 송씨에게 사약을 내릴 것을 명하였다. 그해 3월 16일 사사(賜死)령을 받고 4월 4일 사사되었다.
신씨의 시신은 한성부 북부 연희방 연희궁 근처(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2호선 신촌역 2, 3번 출구와 연세대학교 정문 주변)에 있는 남편 상계군 이담의 묘에 합장되었다. 1849년 남편 상계군의 이복 서제였던 이광의 서자 원범(元範)이 철종으로 즉위하자 복권되었다. 1854년(철종 5) 2월 1일 다른 곳으로 이장되었으나, 묘소는 실전되었다.
2. 1. 혼인과 초기 생애
통덕랑 신오(申瑍)의 딸로, 은언군의 아들 상계군과 혼인하였다. 홍국영의 실각으로 남편 상계군의 지위가 격하되었으나, 친정으로 돌아가지 않고 은언군 일가와 함께 생활하였다.상계군과의 사이에서 자녀가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한편 상계군은 궁녀와의 사이에서 이름 미상의 자녀를 두었으나 일찍 요절하였다.[1]
2. 2. 천주교 입교와 순교
남편 상계군이 의문의 죽음을 당한 뒤, 시어머니 상산군부인 송씨와 함께 천주교에 귀의하였다.[3] 청나라 신부 주문모에게서 '마리아'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시어머니 상산군부인 송씨는 송마리아, 신씨는 신마리아로 불렸다.송씨와 신씨는 조선인 천주교회 교리 연구 단체인 명도회에 참여하였고, 종종 주문모 신부를 초청하여 강론을 들었으며, 양제궁에 딸린 시종과 궁인들도 이때 세례를 받고 천주교에 입교하는 이들이 있었다. 시어머니 상산군부인 송씨는 주문모 신부에게 왕실의 폐궁을 은신처로 제공하였다.
1801년 신유박해 당시 3월 12일 주문모는 조선인 천주교도들이 체포되어 고문당하는 것을 보고 스스로 의금부에 자수하였다. 양제궁의 궁녀, 하인들을 의금부에서 체포하여 투옥, 고문하는 과정에서 양제궁 궁인인 서경의(徐景儀)의 자백으로 상산군부인 송씨와 평산군부인 신씨가 천주교에 입교한 것이 밝혀졌다. 정순왕후는 천주교에 귀의했다는 이유로 재판과 심문 없이 평산군부인 신씨와 상산군부인 송씨에게 사약을 내릴 것을 명한다.
그해 3월 16일 사사(賜死)령을 받고 4월 4일 사사되었다. 그리스도교 교리상 자살은 지옥에 가는 죄가 되어 평산군부인 신씨와 시어머니 상산군부인 송씨는 독약을 마시는 것을 거부하자, 의금부의 포졸들 몇 명이서 달려들어 강제로 사약을 부었다.
2. 3. 사후
신씨의 시신은 한성부 북부 연희방 연희궁 근처(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2호선 신촌역 2, 3번 출구와 연세대학교 정문 주변)에 있는 남편 상계군 이담의 묘에 합장되었다.1849년 남편 상계군의 이복 서제였던 이광의 서자 원범(元範)이 철종으로 즉위하자 복권되었다. 그러나 철종 즉위 직후, 그리고 철종 때와 고종 때 남편 상계군 이담 및 시아버지 은언군 이인 관련 자료들, 신마리아와 시어머니 송마리아 등에 대한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기사 및 관련 기록, 체포, 국문 등에 대한 기록들을 대량으로 세초, 먹줄, 파기해버려 대부분 인멸되었다.
1854년(철종 5) 2월 1일 다른 곳으로 이장되었으나, 어디로 이장되었는지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고, 후일 그의 묘소는 실전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남편 | 상계군 담 (1769년 - 1786년) | |
시아버지 | 은언군 인 (1754년 - 1801년) | |
시어머니 | 군부인 송씨 (1763년 - 1819년) | |
시양부 | 정조 (1752년 - 1800년) | |
시양모 | 원빈 홍씨 (1766년 - 1779년) | |
시법모 | 효의왕후 (1753년 - 1821년) | |
친정아버지 | 신오 | |
양자 | 익평군 이희 (1824년 - 1863년) | 생부는 풍계군 이당. |
4. 평가
신마리아는 한국 천주교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왕족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1801년 신유박해 당시 천주교 신앙을 지키다가 순교한 점은 높이 평가된다.[3] 그러나 철종, 고종대에 관련 기록이 대거 삭제되어, 그의 상세한 행적은 알기 어렵다. 시어머니 송마리아와 함께 명도회에서 활동하고 주문모 신부에게 영세를 받은 점, 정순왕후의 명으로 사사된 점 등은 조선 왕실과 천주교의 초기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5. 기타
상계군과의 사이에서 자녀가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양제궁은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현동 일부에 위치했었다.[1]
참조
[1]
문서
전동의 양제궁은 상산군부인 송마리아와 평산군부인 신마리아가 거주하자, 역적의 폐궁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2]
문서
주문모 신부 조선 입국 전이라 한다.
[3]
뉴스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서울신문
http://www.seoul.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